임파선 부었을 때

인체에는 림프절이라고도 하는 약 800여 개의 임파선이 분포되어 있으며 그중 약 300여 개는 목에 집중되어 있어 목에 림프절 종창 등의 증상이 가장 많이 나타납니다.
임파선은 신체 조직과 혈류 사이에서 체액, 영양소 및 폐기물을 운반하는 신체 전체에서 발견되는 땅콩 모양의 작은 땀샘이며 면역계의 중요한 구성원입니다.
[1] 임파선 부었을 때 증상
림프절은 병원체, 세균, 바이러스가 침입할 때 면역반응에 참여하며 이 과정에서 림프절에 있는 림프구가 모여 증식하게 되면 크기가 커지고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체의 면역반응과 임파선 종창의 증상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세균 침투 외에도 과로나 스트레스는 체내 면역이 저하되면서 임파선 종창 가능성을 높이입니다.
임파선이 부어오르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는 림프절염입니다.
림프절염은 외부로부터 세균과 바이러스의 침입이나 과로나 스트레스에 대한 림프샘의 반응으로 인해 림프절이 비대해진 것을 말합니다.
정상 림프절은 외부에서 만져질 만큼 크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림프절과 림프절이 감염이나 기타 악성 종양에 의해 면역반응을 일으키면 외부에서 만져질 정도로 커지게 됩니다.
경부 림프절염의 증상이 나타나면 초기에 림프절이 잘 움직이고 표면이 매끄럽고 통증이 적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덩어리가 주변 조직에 달라붙어 움직이기 힘들고 때로는 압통, 열 또는 고열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림프절염은 편측성이지만 증상은 양쪽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임파선 부었을 때 치료 방법
림프절이 부어 있는 경우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감기로 임파선이 부어오를 경우 보통 1~2주 정도 지나면 가라앉고 항생제를 복용하면 증상이 호전됩니다.
림프절염은 대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처방받은 약을 복용해도 1~2주 안에 많은 증상이 사라집니다.
세균 감염으로 인해 림프절염이 부은 경우에는 보통 항생제를 처방하고, 결핵이 원인인 경우에는 항결핵제를 처방합니다.
다만, 1~2주간의 치료 후에도 호전의 기미가 보이지 않거나, 호전 및 재발하는 증상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여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목의 림프절 비대를 유발하는 질병에는 백혈병, 악성 림프종, 선천성 기형, 매독, 감염성 피부병,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이 있습니다.
비강, 비인두, 인두 등 두경부에 원발성 병변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정밀검사는 기본적으로 혈액검사, 목 전체의 림프절과 장기를 확인하는 경부 초음파, 목 내부의 이상을 확인하는 후두경 검사로 이루어집니다.
림프절염의 상태가 심하거나 종양과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 생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림프절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인 악성림프종이나 두경부에서 발생하는 구강암, 구강인두암, 갑상선암은 목의 림프절로 전이될 수 있습니다.
결핵균이 림프절에 침투하여 림프절이 부풀어 오르며 이는 젊은 사람들에게 흔합니다.
환자가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폐결핵과 같은 전신 질환이 있는 경우 생검으로 결핵균 감염 여부를 진단합니다.
목의 림프절이 비대해지고 발열과 통증이 있는 경우 대부분 급성 감염성 림프절염이며 약물 치료에 잘 반응합니다.
조직검사는 바늘을 찔러 세포와 조직을 채취하는 방법과 피부를 절개하여 림프절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두 방법 모두 장단점이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환자에게 적합한 방법을 고안합니다.
임파선 부었을 때를 알려드렸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다른 지식도 필요하시다면 상단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두덩이 부어오름 원인, 치료법 정보 (0) | 2021.12.29 |
---|---|
고막 찢어지면 증상, 대처방법, 주의점 총정리 (0) | 2021.12.29 |
페북 프사 없애기 설정방법 살펴보기 (0) | 2021.12.28 |
페북 타임라인 막기 설정법 살펴보기 (0) | 2021.12.28 |
머리아프고 속울렁 거림 이유 살펴보기 (0) | 2021.12.15 |